유용한 기능
* 일반 자료형간의 변환
숫자 자료형끼리는 to자료형() 메소드를 활용
문자열을 숫자로 변경할때에는 별도의 메소드가 필요
ㄴ 정수 형태의 문자열을 정수로 변경할때는 Integer.parseInt(변수명), 실수 형태의 문자열을 실수로 변경할때는 변수명.toDouble()
* 일반 자료형 예제
var num1 = 20
var num2 = 30.2
var num3 = num2.toInt()
var num4 = num1.toDouble()
var strNum5 = "10"
var strNum6 = "10.21"
var num5 = Integer.parseInt(strNum5)
var num6 = strNum6.toDouble()
println("num3: $num3")
println("num4: $num4")
println("num5: $num5")
println("num6: $num6")
* 출력 결과
30
20.0
10
10.21
* 객체 자료형
- 업 캐스팅:
- 하위 클래스 객체를 상위 클래스 타입으로 변환
- 암시적으로 수행 가능
- 안전하며 as 키워드를 명시적으로 사용할 필요 없음
-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와 프로퍼티만 접근 가능
- 다운 캐스팅:
- 상위 클래스 객체를 하위 클래스 타입으로 변환
- 명시적으로 as 키워드 사용 필요
- 타입 검사 필요 (is 키워드 사용)
- 하위 클래스의 메서드와 프로퍼티 접근 가능
- 객체 자료형간의 변환 -> 상속관계에서 가능
- 자료형의 타입 확인 -> is 키워드를 활용
* 자료형 타입 확인 예제
fun main() {
var name = "aa"
if(name is String) {
println("name은 String 타입입니다")
} else {
println("name은 String 타입이 아닙니다")
}
}
* 출력 결과
name은 String 타입입니다
-> name이 어떤 자료형인지를 파악함
* 복수 데이터 값 리턴
- Pair 키워드를 통해 2개의 값을 리턴
- Triple 키워드를 통해 3개의 값을 리턴
* 리턴 예제
fun main() {
var chicken = Chicken()
var eggs = chicken.getThreeEggs()
var listEggs = eggs.toList()
// first, second, third로 관리하는 방법
// var firstEgg = eggs.first
// var secondEgg = eggs.second
// var eggTime = eggs.third
// 리스트로 관리하는 방법
var firstEgg = listEggs[0]
var secondEgg = listEggs[1]
var eggTime = listEggs[2]
println("달걀의 정보는 ${eggs} 입니다.")
println("리스트 달걀의 정보는 ${listEggs} 입니다.")
println("첫번째 달걀의 종류는 ${firstEgg} 입니다.")
println("두번째 달걀의 종류는 ${secondEgg} 입니다.")
println("달걀은 ${eggTime}에 나왔습니다.")
}
class Chicken {
fun getTwoEggs(): Pair<String, String> {
var eggs = Pair("달걀", "맥반석")
return eggs
}
fun getThreeEggs(): Triple<String, String, Int> {
var eggs = Triple("달걀", "맥반석", 20230101)
return eggs
}
}
* 출력 결과
달걀의 정보는 (달걀, 맥반석, 20230101) 입니다.
리스트 달걀의 정보는 [달걀, 맥반석, 20230101] 입니다.
첫번째 달걀의 종류는 달걀 입니다.
두번째 달걀의 종류는 맥반석 입니다.
달걀은 20230101에 나왔습니다.
-> Pair, Triple 둘 다 메소드의 반환 자료형 작성 부분에 작성, 객체 형태로 출력해줌
* Scope Functions
자기 자신의 객체를 전달해서 효율적인 처리를 할 수 있게 함(중요)
* let function의 활용
- 중괄호 블록안에 it으로 자신의 객체를 전달하고 수행된 결과를 반환
* with function의 활용
- 중괄호 블록안에 this로 자신의 객체를 전달하고 코드를 수행
- this는 생략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null이 아닐때만 사용하는게 좋음
* also function의 활용
- 중괄호 블록안에 it으로 자신의 객체를 전달하고 객체를 반환해줘요
- apply와 함께 자주 사용
* apply function의 활용
- 중괄호 블록안에 this로 자신의 객체를 전달하고 객체를 반환해줘요
- 주로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바로 저장하고 싶을때 사용
* run function의 활용
- 객체에서 호출하는 경우, 호출하지 않는 경우 두 가지 존재
* let function 예제
var strNum = "10"
var result = strNum?.let {
// 중괄호 안에서는 it으로 활용함
// 문자열 "10"대신 it이 들어간 것
Integer.parseInt(it)
}
println(result!!+1)
* 출력 결과
11
* with function 예제
var alphabets = "abcd"
with(alphabets) {
// var result = this.subSequence(0,2)
var result = subSequence(0,2)
println(result)
}
* 출력 결과
ab
* subSequence 함수 구조
-> startIndex: 부분 문자열의 시작 위치입니다 (포함), endIndex: 부분 문자열의 끝 위치입니다 (포함하지 않음)로 구성
-> 지금 코드에선 0부터 1까지 즉, ab 출력
* also 함수 구조
fun main() {
var student = Student("참새", 10)
var result = student?.also {
it.age = 50
}
result?.displayInfo()
student.displayInfo()
}
class Student(name: String, age: Int) {
var name: String
var age: Int
init {
this.name = name
this.age = age
}
fun displayInfo() {
println("이름은 ${name} 입니다")
println("나이는 ${age} 입니다")
}
}
* 출력 결과
이름은 참새 입니다
나이는 50 입니다
이름은 참새 입니다
나이는 50 입니다
* apply 예제
package com.example.myapplication
fun main() {
var student = Student("참새", 10)
var result = student?.apply {
student.age = 50
}
result?.displayInfo()
student.displayInfo()
}
class Student(name: String, age: Int) {
var name: String
var age: Int
init {
this.name = name
this.age = age
}
fun displayInfo() {
println("이름은 ${name} 입니다")
println("나이는 ${age} 입니다")
}
}
* 출력 결과
이름은 참새 입니다
나이는 50 입니다
이름은 참새 입니다
나이는 50 입니다
* run function 객체에서 호출하지 않는 경우
package com.example.myapplication
fun main() {
var totalPrice = run {
var computer = 10000
var mouse = 5000
computer+mouse
}
println("총 가격은 ${totalPrice}입니다")
}
* 출력 결과
총 가격은 15000입니다
* run function 객체에서 호출하는 경우
package com.example.myapplication
fun main() {
var student = Student("참새", 10)
student?.run {
displayInfo()
}
}
class Student(name: String, age: Int) {
var name: String
var age: Int
init {
this.name = name
this.age = age
}
fun displayInfo() {
println("이름은 ${name} 입니다")
println("나이는 ${age} 입니다")
}
}
* 출력 결과
이름은 참새 입니다
나이는 10 입니다
-> with와 달리 null체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하게 사용가능
* Scope Functions 정리
1. 수신객체와 람다함수간의 긴밀한 관계가 존재
- 명시적으로 수신객체 자체를 람다로 전달하는 방법, 수신객체를 람다의 파라미터로 전달하는 방법 두 가지로 구분
2. 수신객체, 람다와의 관계
- T는 수신객체를 의미
- block: 내부는 람다함수의 소스코드
- 수신객체는 it으로 사용할 수 있음 -> 모든 수신객체를 it으로 활용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다른 표기명을 쓰기도 함
* it을 다른 표기명으로 사용하는 방법 예시
// Scope Function을 중첩으로 사용할 경우 누가 누구의 범위인지 알수 없다!
// Implicit parameter 'it' of enclosing lambda is shadowed 경고 발생!
data class Person(
var name: String = "",
var age: Int? = null,
var child: Person? = null
)
// 잘못된 예시
Person().also {
it.name = "한석봉"
it.age = 40
val child = Person().also {
it.name = "홍길동" // 누구의 it인지 모른다!
it.age = 10 // 누구의 it인지 모른다!
}
it.child = child
}
// 수정한 예시
Person().also {
it.name = "한석봉"
it.age = 40
val child = Person().also { c ->
c.name = "홍길동"
c.age = 10
}
it.child = child
}
-> it이 여러곳에서 쓰일 경우 명칭을 달리함, 수정한 예시에서 보면 it 대신 c를 사용
* 정리
Scope에서 접근방식 this | Scope에서 접근방식 it | |
블록 수행 결과를 반환 | run, with | let |
객체 자신을 반환 | apply | also |
확장함수
* 확장함수란? 기존 클래스에 쉽게 메소드를 추가, 원하는 메소드가 있지만 내가 설계한 클래스가 아닐때 외부에서 메소드를 관리
* 주의사항
- 확장함수는 public 멤버에만 접근할 수 있고 private, protected는 접근할 수 없음
- 상속 불가능, 오버라이딩 불가능
* 확장함수 예제
package com.example.myapplication
fun main() {
fun Student.getGrade() = println("학생의 등급은 ${this.grade} 입니다")
var student = Student("참새", 10, "A+")
student.displayInfo()
student.getGrade()
}
class Student(name: String, age: Int, grade: String) {
var name: String
var age: Int
var grade: String
init {
this.name = name
this.age = age
this.grade = grade
}
fun displayInfo() {
println("이름은 ${name} 입니다")
println("나이는 ${age} 입니다")
}
}
* 출력 결과
이름은 참새 입니다
나이는 10 입니다
학생의 등급은 A+ 입니다
-> Student.getGrade()를 사용하여 Student 클래스에 getGrade() 메소드를 추가함
* 비동기 프로그래밍
* 동기 프로그래밍
- 요청 보내고 결과값을 받을 때까지 작업을 멈춤
- 한 가지씩 작업을 처리
* 비동기 프로그래밍
- 요청 보내고 결과값을 받을 때까지 멈추지 않고 또 다른 일을 수행
- 다양한 일을 한 번에 수행
쓰레드
* 쓰레드
- 프로그램은 하나의 메인 쓰레드(실행흐름)이 존재, 메인 쓰레드는 메인함수 fun main()를 의미
- 메인 쓰레드만 사용할 때는 로직을 실행해서 동시처리가 불가능 했지만 자식 쓰레드를 생성하면 동시에 로직 실행 가능
- thread 키워드를 활용
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는?
* 프로세스(Process)
-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가서 실행될때 이를 프로세스 1개라 칭함
- 보통 프로그램을 더블클릭하면 프로세스가 생김
* 쓰레드(Thread)
- 프로세스보다 더 작은 작업 단위
- 쓰레드를 한 개 생성하면 스택메모리의 일정 영역을 차지
* 쓰레드
package com.example.myapplication
import kotlinx.coroutines.delay
import kotlinx.coroutines.launch
import kotlinx.coroutines.runBlocking
import kotlin.concurrent.thread
fun main() {
thread(start = true) {
for(i in 1..10) {
println("Thread1: 현재 숫자는 ${i}")
runBlocking {
launch {
delay(1000)
}
}
}
}
thread(start = true) {
for(i in 50..60) {
println("Thread2: 현재 숫자는 ${i}")
runBlocking {
launch {
delay(1000)
}
}
}
}
}
* 출력 결과
Thread1: 현재 숫자는 1
Thread2: 현재 숫자는 50
Thread2: 현재 숫자는 51
Thread1: 현재 숫자는 2
Thread1: 현재 숫자는 3
Thread2: 현재 숫자는 52
Thread1: 현재 숫자는 4
Thread2: 현재 숫자는 53
Thread1: 현재 숫자는 5
Thread2: 현재 숫자는 54
Thread2: 현재 숫자는 55
Thread1: 현재 숫자는 6
Thread2: 현재 숫자는 56
Thread1: 현재 숫자는 7
Thread1: 현재 숫자는 8
Thread2: 현재 숫자는 57
Thread1: 현재 숫자는 9
Thread2: 현재 숫자는 58
Thread1: 현재 숫자는 10
Thread2: 현재 숫자는 59
Thread2: 현재 숫자는 60
-> delay(1000)을 넣어서 1초마다 값이 동시에 출력 됨
-> 출력 순서는 랜덤, 이유는 CPU에 먼저 도착한 값이 먼저 출력되기 때문에 계속 달라짐(경쟁하는 것)
코루틴
코루틴이란? 쓰레드보다 더 경량화된 동시처리 기능 제공
- 안정적인 동시성,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함
- 코루틴이 쓰레드보다 더욱 가볍게 사용
- lanuch는 Job객체로 코루틴을 관리(Job객체는 다양한 함수를 가지고 있음), 결괏값이 없는 코루틴
- join: 현재의 코루틴이 종료되기를 기다려요
- cancel: 현재의 코루틴을 즉시 종료
- async는 결과값이 있는 코루틴이다
코루틴은 스코프로 범위를 지정할 수 있음
- GlobalScope: 앱이 실행된 이후에 계속 수행되어야 할 때
- CoroutineScope: 필요할때만 생성하고 사용 후에 정리가 필요 (job.cancel을 사용)
* 코루틴 예제
import kotlinx.coroutines.*
fun main() = runBlocking { // this: CoroutineScope
launch { // launch a new coroutine and continue
delay(1000L) // non-blocking delay for 1 second (default time unit is ms)
println("World!") // print after delay
}
println("Hello") // main coroutine continues while a previous one is delayed
}
* 출력 결과
Hello
World!
-> runBlocking : 코루틴 빌더로 fun main()의 코루틴이 아닌 영역과 runBlocking() 중괄호 내의 코루틴 코드를 연결
-> launch : 코루틴 빌더로 나머지 코드와 동시에 새로운 코루틴을 시작하며 계속해서 독립적으로 작동
-> 이 코드에서 Hello가 먼저 출력된 것도 launch로 인해 World!가 나중에 출력되기 때문
-> delay : 일정 기간 동안 딜레이를 거는 것
* 쓰레드와 코루틴의 차이
- 쓰레드나 코루틴은 각자의 방법으로 동시성을 보장하는 기술
- 코루틴은 Thread를 대체하는 기술이 아니라 하나의 Thread를 더욱 잘개 쪼개서 사용하는 기술
- 코루틴은 쓰레드보다 CPU 자원을 절약하기 때문에 Light-Weight Thread라고 칭함
참고자료
- 코틀린 공식 사이트 : 코루틴 기본 개념 이해
https://kotlinlang.org/docs/coroutines-basics.html#your-first-coroutine
'Android 앱개발 공부 > TIL(Today I Learne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ndroid] TIL 18일차 (0) | 2024.06.14 |
---|---|
[Android] TIL 17일차 (2) | 2024.06.13 |
[Android] TIL 15일차 (0) | 2024.06.11 |
[Android] TIL 14일차 (2) | 2024.06.10 |
[Android] TIL 13일차 (0) | 2024.06.07 |